카카오엔터프라이즈37
-
더 작고 똑똑한 스마트 스피커, 미니헥사 #스마트_디바이스 #음성인식_스피커 #카카오AI
시작하며, 스마트 스피커(AI스피커)는 구글, 아마존, 애플 등 글로벌 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바이두나 알리바바, 샤오미 등 중국 거대 기업들도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국내만 보더라도 제조업체인 삼성과 LG, 통신회사인 SKT, KT, LGU+, 인터넷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 모두 음성 AI 플랫폼과 함께 자사의 스마트 스피커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 스피커 연간 출하량은 2018년 7,800만 대에서 2019년에는 전년 대비 60% 증가해 1억 2,460만 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집계한 국내 시장도 2019년 말 기준 누적 판매량이 800만 대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 하반기부터 소비자..
Tech Log 2020. 12. 30. -
한국어 챗봇에서의 오류에 강건한 한국어 문장 분류를 위한 어절 단위 임베딩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최동현, 박일남, 신명철, 김응균)이 성균관대학교(신동렬)와 함께 쓴 논문 ‘한국어 챗봇에서의 오류에 강건한 한국어 문장 분류를 위한 어절 단위 임베딩’이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실렸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해 매년 10월마다 열리는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는 전산언어학과 언어학,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AI Lab은 오류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장 분류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고자 새로운 통합 어절 임베딩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이 방식은 여러 가지 다른 단위의 임베딩을 하나로 통합하고 데이터에 자동으로 노이즈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포함한 문장 분류 성능을 높입니다. 자체 실험 결과, 기존 시스템과 비교해..
AI Research 2020. 12. 30. -
오픈도메인 질의문 자동 분류를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 연구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안애림, 이서진, 최동현, 김응균)이 한국외국어대학교(남지순)와 함께 쓴 논문 ‘오픈도메인 질의문 자동 분류를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 연구’가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실렸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해 매년 10월마다 열리는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는 전산언어학과 언어학,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논문에서 AI Lab은 오픈도메인 자연어 질의문에서 비명시적인 의미자질을 고려한 질문 초점(Question Focus)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구축된 112,856개 문장의 주석 말뭉치를 학습한 기계학습(CNN) 기반 문장 분류 시스템은 F1-Score 97.72% 성능을 ..
AI Research 2020. 12. 22. -
EMNLP 2020 - 다국어 번역 논문 2편을 소개합니다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이하 AI Lab)이 낸 3편의 논문이 EMNLP(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 게재 승인됐습니다. 자연어처리에서 경험적 방법론을 다루는 이 학회는 ACL(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NAACL(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CL)과 함께 전산언어학 분야에서는 인지도가 높습니다. 올해에는 총 3,677편의 논문 중 754편이 통과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MNLP에 게재된 논문 중, 신경망 기반 다국어 기계 번역 모델(multilingual neural machine translation, MNNT)에 관한 최신 기법을 다룬 2편의..
Tech Log 2020. 12. 17. -
Stable Style Transformer: Delete and Generate Approach with Encoder-Decoder for Text Style Transfer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이주성)이 쓴 논문 ‘Stable Style Transformer: Delete and Generate Approach with Encoder-Decoder for Text Style Transfer(이하 SST)’가 자연어생성국제학술대회(이하 INLG)에 게재 승인됐습니다. 텍스트 스타일 변환(text style transfer)은 입력 문장의 내용(content)은 보전하면서, 문장의 속성(attribute)에 해당하는 값을 바꾸는 태스크를 가리킵니다. 이번 논문에서 AI Lab은 기존 방식대로 비병렬 데이터셋을 활용해 좀 더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는 새로운 텍스트 스타일 변환 모델인 SST를 제안했습니다. 스타일 변환은 두 단계를 걸쳐 진행됩니다. 첫 번째,..
AI Research 2020. 12. 17.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개발 인턴십 후기 #면접후기 #안드로이드_개발자 #주니어_개발자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인턴십을 거쳐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입사하여 비즈니스플랫폼개발실 클라이언트 개발팀에서 안드로이드 1셀에 근무하고 있는 Zero 입니다.🐥 저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취직을 꿈꾸는 평범한 대학생이었습니다. 다른 고학년 대학생들처럼 바쁘게 취업 준비를 하던 어느 날, 우연히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인턴 전형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인턴 제도에 대해 생소하기도 했고, 관련 정보가 전무했던 터라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원하던 직무였기 때문에 설렘 반 두려움 반으로 지원서를 제출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는 이렇게 인턴제도를 활발히 운영 중이기 때문에 인턴 전형에 관심이 있는 미래의 카카오엔터프라이즈 Krew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여기..
Krew Talk 2020. 12. 16.